로고


전시


  • 트위터
  • 인스타그램1604
  • 유튜브20240110

전시상세정보

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

2025 어린이전시: 기다려-색!

  • 상세정보
  • 전시평론
  • 평점·리뷰
  • 관련행사
  • 전시뷰어



미술관에서 여름을 건너는 법! “방학 특별전 개최”
어린이 전시《기다려-색! 개최


전남도립미술관(관장 이지호)은 예술과 함께 머무는 여름의 시간을 마련하기 위하여, 여름방학을 맞아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《기다려-색!》전시를 개최한다.  2025년 7월 15일부터 9월 14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감상 중심의 전시를 넘어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체험을 유도하는 구성으로, 예술의 문턱을 낮추고 일상 속에서 예술을 다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

어린이 전시 《기다려-색!》은 ‘색’을 주제로 기획된 체험형 전시로, 감각과 표현, 참여를 중심에 둔다. 색은 누구나 일상에서 접하는 익숙한 요소지만, 디지털 기술과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CMYK, RGB와 같은 체계에 갇히며 오히려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. 이 전시는 색을 감각하고 해석하며 표현하는 과정 속에서 색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고, 예술을 놀이처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. 이번 전시에 참여한 다섯 명의 작가는 각자의 시선으로 색의 원리와 의미를 탐색하고, 이를 작품과 체험 요소로 확장한다.

박미나는 유아용 색칠 공부 활동지와 크레파스를 활용한 <84색 드로잉>(2016)을 통해 관습적 채색 방식에서 벗어난 색 실험을 선보이며, 실제 물감 이름이 붙은 안료를 수집해 구성한 회화 연작 <색의 정>(2021)으로 색의 명명 방식과 체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.

박형진은 창살 너머로 본 풍경을 색점으로 기록한 <오동나무>(2021)를 통해 계절 변화의 흐름을 시각화하며, 그리드 구조 안에서 색만으로 자연을 표현한다.

유지원은 <판타스마고리>(2023), <공간의 구조화 : 폐허의 미학>(2021–2025) 등에서 폐지, 시멘트와 같은 일상적 재료에 색을 입혀 버려진 공간을 예술로 전환하고, 이를 조형적 스펙터클로 구성한다.

이은선은 신작 <삼각 태양>(2025)에서 미술관 테라스의 채광 구조를 분석해 빛의 흐름과 그림자를 삼각형 색 조각으로 시각화하며, 시간과 공간의 감각적 체험을 유도한다.

정정하는 <Light Pixel : 천 개의 이야기>(2018~)에서 관람객의 감정을 색으로 시각화한 색 시험관 설치를 선보이고, <Move On>(2025) 연작에서는 조색 과정의 흐름을 추상화하여 변화와 성장을 상징한다.

이러한 작품들은 단순한 시각 감상을 넘어 체험적 요소로 연결된다.
관람객은 박미나의 색칠 활동지를 통해 자신만의 색 원칙을 실험하고, 박형진의 창틀 형태 교구를 통해 색으로 시간의 흐름을 관찰한다. 유지원의 ‘틈새 블록’ 조형 교구는 색의 입체적 감각을 확장시키며, 이은선의 색 선글라스 키트는 빛과 색의 혼합 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한다. 정정하의 작업은 감정을 색으로 표현해보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연계된다. 《기다려-색!》 전시는 작가들과 공동 개발한 활동지, 교구, 발문 등을 바탕으로 상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, 어린이 대상 전시 해설(1일 2회: 오전 11시, 오후 3시)과 특별 워크숍도 함께 제공된다. 이를 통해 어린이뿐 아니라 전 세대가 예술과 자연스럽게 만나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.

전남도립미술관 이지호 관장은 “이번 어린이 전시는 ‘색’이라는 친숙한 주제를 통해 어린이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가 각자의 감각과 시선으로 예술을 자유롭게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”며 전 세대가 예술을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미술관의 역할을 넓혀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”고 밝혔다.

특별 워크숍과 전시 해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남도립미술관 누리집(artmuseum.jeonnam.go.kr) 및 SNS(인스타그램, 페이스북)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



박미나 <84색 드로잉>, <일년의 숲>

박미나는 일상에서 수집한 색과 기호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‘색 수집가’다.
그의 작업은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색을 선택한다고 느끼는 경험 뒤에 존재하는 색의 체계화된 조건들을 드러낸다.

 ·  출  생 : 서울 출생
 ·  학  력 : 뉴욕시립대학교 헌터칼리지 회화 전공 미술학 석사
 ·  분  야 : 회화, 설치 등
 ·  주요활동
 (개인전) 페리지갤러리(’24), 아뜰리에 에르메스(’23), 두산갤러리(’13) 등
 (단체전)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(’25), 리움미술관(’25), 세화미술관(‘23) 등 




박형진 <오동나무>, <일년의 숲>

박형진은 창살 너머 풍경의 변화를 색점과 그리드로 기록하며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한다.
색으로만 구성된 그리드는 자연을 재현하기보다 관찰의 구조를 감각적으로 환기시킨다.

 ·  출   생 : 서울 출생 
 ·  학   력 : 성신여대 동양화 박사 
 ·  분   야 : 동양화, 회화, 설치 등
 ·  주요활동 
 (개인전) 경기도미술관(’22),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(’21), 금천예술공장(’21) 등
 (단체전) 광주화루(’25), 김홍도미술관(’24), 송은(’23) 등



유지원 <판타스마고리아>, <공간의 구조화: 폐허의 미학>

유지원은 강조와 장식의 색을 통해 버려진 공간과 사물을 조형적으로 재해석한다.
폐허를 형형색색의 공간으로 전환해, ‘버려짐’의 미학과 시각적 스펙터클을 탐구한다.

 ·  출   생 : 순창 출생 / 담양, 무안 등 광주, 전남 활동
 ·  학   력 : 프랑스 안시고등미술학교 ART 석사
 ·  분   야 : 조각, 설치 등
 ·  주요활동 
 (개인전) 아카이브 미로센터(’22), 화인페이퍼갤러리(’22), 무안오승우미술관(’21) 등
 (단체전) 국립아시아문화전당(’23), 광주비엔날레(’23), 두산갤러리(’19) 등



이은선 <삼각 태양>

이은선은 색과 빛의 관계를 분석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한다.<삼각 태양>(2025)은 채광 구조를 활용해 빛의 흐름을 색으로 투사하며, 변화하는 색의 풍경을 만든다.

 ·  출   생 : 서울 출생
 ·  학   력 :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석사(필름, 비디오, 뉴미디어 전공)
 ·  분   야 : 조각, 사진, 영상 등
 ·  주요활동 
 (개인전) 피비갤러리(’23), 티퍼런스 서울(’22), 유니스의정원(‘20)등
 (단체전) 디뮤지엄(‘18),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(’18) 등



정정하 <Light Pixel: 천 개의 이야기>, <무브 온>

정정하는 페인트 가게에서의 조색 경험을 바탕으로, 색에 담긴 개인의 감정과 기억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.
설치와 회화를 통해 색을 매개로 사람과 삶의 서사를 연결하며, 색이 가진 정서적 힘에 주목한다.

 ·  출   생 : 광주 출생 / 무안 등 전남 일대 활동
 ·  학   력 : 조선대 미술학과 졸업 및 대학원 수료
 ·  분   야 : 설치, 회화 등
 ·  주요활동 
 (개인전) 화인페이퍼갤러리(‘25), 오승우미술관(’21), 예술공간 이아(‘20) 등
 (단체전) 광주시립 하정웅청년작가전(‘21), 국립아시아문화전당(‘21), 반도문화재단(’21) 등 








하단 정보

FAMILY SITE

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(홍지동44) 김달진미술연구소 T +82.2.730.6214 F +82.2.730.9218